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퇴직금 계산기(고용노동부 추천)계산방법 상세가이

 

 오늘은 "퇴직금 계산방법과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 사용법" 에 대해 자세히 적어볼게요. 퇴직금은 보통 퇴직전 3개월 임금 총액을 기준으로 계산하게 됩니다. 물론 이것 역시 세전으로 계산합니다.

다음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도 있지만,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가 더 정확하고 세밀합니다.

우리는 컴퓨터를 통해 고용노동부 홈페이제서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를 접속하여 퇴직금을 계산해볼게요. 쉽게따라 할수 있게 천천히 상세하게 적어 두도록 하겠습니다.

 

 

 

퇴직금이란?

1) 퇴직금이란 근로자가 일정한 기간을 근무하고 퇴직의사를 밝힐경우, 지급되는 금액을 나타내요. 퇴직금은 1년 이상 근무를 하셨을때 발생하는 근로자의 권리입니다.

 

2) 퇴직연금제도에는 DB와 DC형으로 나뉘어집니다.

DC형의경우 퇴직금을 주식이나, 펀드 등 자기가 직접 운용하고 이에 따른 손실 또는 자산의 증가로 이루어 집니다. 이때 원금은 손실이 날수도 있다는 점이 한편으로는 불리한 점으로 작용되나, 운용에 따라 퇴직금이 늘어날수 있기 때문에 고민을 해보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면, DB형의 경우 확정급여형으로, 노동자는 퇴직금에 대해 신경쓸게 없고, 이 퇴직금은 일정한 계산에 사용자가 지불하게 된답니다. 

우리는 계산기를 사용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대부분 DB형 확정급여형으로 설정되어 있을거예요.

 

 

3) DC형의 경우 확정기여형으로 자기가 IRP계좌를 통해(퇴직연금계좌) ETF 등 상품을굴리기 때문에 계산기랑은 상관없습니다.(내가 퇴직금 사용하여 투자하기 때문에 이미 퇴직금 금액을 알고있음)

 

이렇게 위에처럼 DC형 확정기여형일 경우, 퇴직연금을 근로자가 운용실적에 따라 변동되는 제도를 말하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사용방법

 

 1) 우리는 먼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의 퇴직금계산기하기 홈페이지에 접속을 해볼게요. 링크는 상단에 퇴직금 계산기 바로가기에 넣어두겠습니다.


2) 먼저 입사일자와 퇴직일자를 넣고 재직일수를 확인할게요. 저는 임의로 2021년 10월 31일 부터 ~ 2024년 1월 1일 까지 근무한것으로 넣고 평균임금 계산기간보기를 눌러주겠습니다.

※ 퇴직일자는 마지막 근무한 날 + 1을 로 계산 재직일수는 789일로 확인됩니다.

 

2-1) 미산입기간이란? 육아휴직 등 평균임금 산전기간에서 제외되는 날을 말해요

2-2) 근무제외기간이란? 개인휴직 등으로 근속이 제외되는 기간을 말합니다.


 

 

3) 기본급과 기타수당을 기입해보겠습니다. 각각 기본급 2백만원과 마지막으로 연차수당가 상여금을 넣어볼게요.

 

 

상여금은 2백만원 정도 받고. 연차수당은 연차가 5한개당 10만원씩으로 5 * 10만 = 50만원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 이는 근로자의 근로조건에 따라 모두 다르므로, 직접 확인해보고 수당과 기본급, 상여급 등을 기입하셔야 합니다.

 

5) 이제 평균임금 계산을 누르면 임금총액이 나오고요, 임금총액은 7,675,000원이 나오네요.

1일 평균임금과 퇴직금이 나온답니다. 이제 퇴직금계산을 마지막으로 해보겠습니다.

 

제가 이렇게 근무하고 받을 퇴직금은 약 550만원 정도 나오게됩니다.

 

 

퇴직금 계산방법

퇴직금 계산방법 = 1일 평균임금 x 30(일) x (재직일수/365)

 

 

위의 산식대로 고용노동부에서 퇴직금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산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고용노동부에서 퇴직금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으니, 힘들게 수동으로 계산하지 마시고,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접속 한후, 계산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귀찮을수 있으니... 편리하게)

 

맺음말

사용자로 부터 일정을 댓가를 받고 근로한뒤, 근로자가 직장을 그만 두게 되면 받는 (회사, 사용자) 급여입니다.

퇴직금은 14일 이내 지급받아야 하며 권리를 보장 받을수 있어요.

그리고 퇴직금은 DB와 DC형이 나뉘어지는데... 퇴직금 계산기를 사용하시는 분은 DB형(확정급여형)이실테네 천천히 위를 따라하시면 됩니다.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계산기기 때문에 어렵지 않고 천천히 따라하실수 있답니다. 다음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 보다 더욱 정확하니,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를 한번 이용해보세요.